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임실776

임실군의 학교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2012. 1. 28.
1950년 10,18 임실군 국민학교 실태조사 1950년 10,18 국민학교 실태조사 저 자 명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발행사항 1950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소장자료 2006년도 영인한 자료임 2012. 1. 26.
6.25 전쟁과 임실 박노규 준장 요 약 정 보 ● 한문 : 朴魯珪 ● 생몰연대 : 1918.3.14-1951.3 ● 출신지역 : 전북 임실 ● 최종계급 : 육군 준장 ● 상훈내용 : 태극무공훈장 ● 참고문헌 : 태극무공훈장에 빛나는 6.25전쟁 영웅, 자유민에게 전해다오 1집 상 세 설 명 ※약력 *1918. 3 전북 임실 출생 *1946. 11 국.. 2012. 1. 24.
해동지도(海東地圖)-1750년대 초 임실현 해동지도(海東地圖) 1750년대 초에 만든 회화식 군현지도집. 지정번호 보물 제1591호 지정연도 2008년 12월 22일 소장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재지 서울시 관악구 신림9동 산56-1 시대 조선시대 크기 8책/47×30.5㎝ 종류 지도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다. 18세기 조.. 2012. 1. 12.
사선녀정보화마을 위원장 이취임식 2012. 1. 11.
선역도 (鮮域圖 조선팔도지도)-1760년대 전라도 선역도 (鮮域圖 조선팔도지도) 선역도 (鮮域圖)는 176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불명의 채색필사 지도집이다. 미,의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독도문제와 관련하여 자주 인용되고 있다. 2012. 1. 10.
동역도(東域圖)-1770년경 전라도 동역도(東域圖) 정상기의 《동국지도》수정본 계통의 하나로서 전라도가 그려져 있으며, 뒷면에 湖南이란 지도 이름이 적혀 있다. 일반군현은 노란색 큰 원으로, 수영과 병영이 설치된 곳은 노란색 큰 사각형으로, 군사기지인 진보와 종6품의 察訪이 파견되어 많은 속역을 관장하.. 2012. 1. 10.
동국팔역도(東國八域圖)-1776년 전라도 東國八域圖 발행사항 [刊寫地未詳],[刊寫者未詳],[刊寫年未詳] 지도명(한글) 동국팔역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제작자 未詳 제작시기 1776년 以後 제작시기근거 衿川 尼山1776 山淸 安義 理山 표제 東國八域圖 형태 8 枚. 크기 (책) 16.0 cm × 25.5 cm, (도폭) 60.0 cm × 74.0 cm 不同 유형 東.. 2012. 1. 10.
치즈밸리 1 2012. 1. 2.
치즈밸리 2 2012. 1. 2.
여지도(輿地圖)-전라도/ 임실군 -1789년경 《광여도》의 임실현 지도와 전체적인 구도와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읍치의 縣內面에 노란색 사각형을 표시하지 않은 점, 아래쪽에 사각형만 그리고 노란색이나 東面의 명칭을 넣지 않은 점 등이 눈에 띈다. 이런 점들은 본 지도가 《광여도》를 필사하면서 실수한 것으로 생각.. 2012. 1. 1.
청구도(靑邱圖)-임실군 1834년 靑邱圖 저 자 명 金正浩 撰 발행사항 [刊寫地未詳]:[刊寫者未詳],[1834] 형태사항 不分卷2冊:圖;35.2 x 23.2 cm 주기사항 寶物 第1594-1號彩色地圖冊題: 甲午(1834)...崔漢綺附: 軍國總目表裝幀: 正字紋暗色厚褙表紙草綠色絲綴 국립중앙도서관 원문정보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구축됨 김정.. 2012. 1. 1.
청구요람(靑邱要覽)-임실군 1834년 김정호가 만든 『靑邱圖』의 異本은 현재 9개 남아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3개의 유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중 본 『청구요람』(古4709-21A)은 乾?坤 2권으로 되어 있으며, 남북으로 총 29층, 동서로는 22판으로 구분되어 있다. 乾권에는 홀수층이, 坤.. 2012. 1. 1.
동국여지도 (東國與地圖: 冊)-1849년 동국여지도 (東國與地圖: 冊) 저작사항 : [作圖者未詳] 판 사 항 : 木版 발행사항 : 歲屠維作?(己酉,1849)刊 형태사항 : 不分卷 1冊. 地圖. 四周單邊, 半郭 26.7×16.2Cm, 有界, 半葉 10行 字數不定, 上2葉花紋 魚尾. 크 기 : 31.3×19.2Cm. 洋裝(改裝). 楮紙.31.3×19.2Cm. 洋裝(改裝). 楮紙. 주기사항.. 2012. 1. 1.
동여도(東輿圖)-1861년 이전 *19세기 중엽에 金正浩가 제작하여 <大東輿地圖>의 저본으로 삼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朝鮮全圖이다. 일부에서는 <대동여지도>의 제작 이후에 필사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木版本인 <대동여지도>와는 달리 아름다운 채색 필사본 지도이다. 지도에는 설명과 약 18,000여.. 2012. 1. 1.
대동방여전도(大東方與全圖)-1861년 김정호가 제작한 22첩의 《대동여지도》와 내용이나 구성이 거의 동일한 채색필사본 지도다. 다만 앞의 지도 21첩에 들어있던 남해안과 제주도 사이의 추자도 부분을 22첩의 제주도와 함께 수록하여 21첩으로 구성하였다. 《대동여지도》의 필사본 대부분이 산줄기와 물줄기를 거.. 2012. 1. 1.
대동여지전도(大東與地全圖)17책-전라도 임실 1861년 《大東輿地圖》는 김정호가 1861년(철종 12)에 조선을 남북 22폭(또는 층)으로 나누어 만든 목판본 대축척 조선 지도책이다. 1864년(고종 1)에는 일부분을 수정하여 재판하였으며, 목판의 일부가 국립중앙박물관과 숭실대박물관 등에 현존하고 있다. 각 폭은 가로 80리, 세로 120리 간격.. 2012. 1. 1.
전라도 임실현지도-1872년 임실현지도 任實縣地圖, 임실현은 지금의 전북 임실군 임실읍, 성수면, 관촌면, 신덕면, 신평면, 운암면, 강진면, 덕치면, 청웅면, 오수면 지역에 해당하며, 읍치는 임실읍 성가리 일대에 있었다. 섬진강의 상류 유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호남정맥을 넘어 전주와 연결되고 .. 2012. 1. 1.
대한신지지 부지도(大韓新地志 附地圖)-전라도 1907년 대한신지지大韓新地志 1907년(光武 11) 6월에 장지연張志淵이 애국심을 북돋고자 쓴 『大韓新地志』에 들어간 부도만을 모아 만든 지도책이다. 1907년 6월 15일에 초판을 냈고, 발행자는 남장희南章熙이고, 인쇄소는 휘문관徽文館이다. 남정철南廷哲의 서문이 2면, 장지연의 서문이 4.. 2011. 12. 29.
실측상밀조선신지도(實測詳密朝鮮新地圖).1911년 실측상밀조선신지도(實測詳密朝鮮新地圖). 도명 : 실측상밀조선신지도(實測詳密朝鮮新地圖) 제작년 : 명치44년 (1911년). 제작 : 일, 鈴木常次郞 , 鈴木常松 공저 제도 : 修文館 출처 : 미, 오스틴대학 도서관. 2011. 12. 29.
朝鮮五万分一地形圖(1918년) 朝鮮五万分一地形圖. [20-1-11] : 任實(全州十一號) 편 명 : 任實(全州十一號) 발행처 : 陸地測量部 편찬자 : 朝鮮總督府 [編] 발행일 : 大正7년 (1918년 ) 지역분류 : 全羅北道 鎭安郡 , 全羅北道 任實郡 , 全羅北道 長水郡 , 全羅北道 南原郡 2011. 12. 29.
임실치즈 코디네이터 졸업작품들 2011. 12. 24.
문화체험.관광리더 수료식 1 2011. 12. 24.
문화체험.관광리더 수료식 2 2011. 12. 24.
문화체험.관광리더 수료식 3 2011. 12. 24.
문화체험.관광리더 수료식 4 2011. 12. 24.
문화체험.관광리더 수료식 5 2011. 12. 24.
애향운동본부 임실지부 2011 정기총회 2011. 12. 6.
호국원 2011. 11. 18.
임실고앞 도로변의 은행나무 2011.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