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임실/임실군 자료230

1910,1914년도 임실군 행정구역지도 1910년 05월 10일 임실군 행정구역 1914년 03월 01일 임실군 행정구역 -당시 따로 떨어져 있던 영계면이 순창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35년 10월 01일 오천면이 관촌면으로,  1992년 08월 10일 둔남면이 오수면으로 개칭되었다 지도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원문 출처: 조선총독부 관보 제488호 (1914년 3월 18일 발행)전라북도령 제5호: 조선총독부 관보 제499호 (1914년 4월 1일 발행)정오: 조선총독부 관보 제503호 (1914년 4월 7일 발행)와 제539호 (1914년 5월 19일 발행) 면의 명칭과 구역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다이쇼 3년 4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함- 다이쇼 3년 3월 10일 조선총독.. 2024. 5. 2.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임실지회 2023. 6. 30.
진구사지 석등 2022. 10. 24.
진구사지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2022. 10. 24.
임실향교 대성충효교실 2022. 10. 24.
임실향교 대성전 2022. 10. 24.
가시연꽃 자생지 임실 대말방죽(대정 저수지) 임실 대말방죽 숲(가시연꽃 자생지) 조용하고 고즈넉한 분위기의 저수지 대정저수지는 그렇게 유명한 저수지는 아니다. 하지만 조용하고, 고즈넉한 분위기로 인해 사람들이 알음알음 찾아오는 저수지이다. 대정저수지에 사람들이 찾는 이유는 바로 가시연꽃. 가시연꽃 생태공원으로 지정된 대정저수지엔 희귀식물로 지정된 가시연꽃이 자생하고 있다. 가시연꽃은 세계적으로 1속 1종 밖에 없는 한해살이 물풀로 연꽃의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 물 위에 뜨고 잎의 앞면은 주름지고 가시가 있으며 뒷면은 흑자색, 꽃은 자줏빛으로 주로 10월에 피는데, 연잎과 꽃받침에도 가시가 돋아나 흡사 선인장에 꽃이 피어있는 모습을 보는 것 같다. 대정저수지는 전주에서 남원으로 가는 국도변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아름드리 노송과 왕버드나무가 긴.. 2022. 4. 20.
임실 오수 대정 저수지 전북 임실군 오수면 대정리 200 2022. 4. 12.
임실치즈 테마파크 야경 2022. 4. 12.
地圖. 二 고종21(1884) 地圖. 二– 임실 간사자 : 미상 간사년 : 고종21(1884) 소 장 : 고려대학교 도서관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와 지구 공전.. 2022. 2. 1.
옛길 一大路 의주로 경도⇒의주(義州) 1,065 里 (약 575 km) 돈의문(敦義門,서대문)-병전거리(餠廛巨理)-녹번현(綠번峴)-양철평(梁鐵平)-관기(館基)-박석현(薄石峴)-검암참(黔巖站)-덕수천(德水川)-여현(礪峴)-신원(新院)-고양(高陽)-벽제역(碧蹄驛)-혜음령(惠陰嶺)-세류점(細柳店)-쌍불현(雙佛峴)-분수원(焚修院)-신점(新店)-광탄천(廣灘川)-파주(坡州)-이천(梨川)-임진도(臨津渡)-동파역(東坡驛)-유현(柳峴)-장단(長湍)-오목리(吾木里)-견양암(見樣巖)-조현발소(調絃撥所)-판적천교(板積川橋)- -개성(開城)-청석동발소(靑石洞撥所)-대현( 이하 황해도)-금천(金川)-의현(衣峴)-평산(平山)-차령(車嶺)-보산역(寶山驛)-석우발소(石隅撥所)-안성발소(安城撥所)-상차령(上車嶺)-서흥(瑞興)-토교-산수원(山.. 2021. 12. 1.
호남로, 삼계도, 오수도, 오수역, 오원역 호남로(湖南路) 정의 조선시대 전라도 지역에 설치된 도로망을 통칭하는 말로, 호남로에는 벽사도‧오수도‧경양도‧제원도‧청암도‧삼례도 등 6개의 역도와 그 속역들이 포함되었음. 개설 조선시대의 역(驛)은 병조-승여사(乘輿司)-역승(驛丞)‧찰방(察訪)-속역(屬驛) 체제에 따라 관리 및 감독되었다. 역도는 고려초기 6과(六科) 체제가 후기의 22역도 체제로 개편되면서 제도적으로 정비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종대에 44역도-537속역 체제로 재편되었으며, 세조대에 이르러 41역도-543속역 체제가 확립됨으로써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역도 체제가 형성되었다. 호남로(湖南路)는 전라도 지역의 교통로들을 통칭하는 말로, 공식적으로 사용된 명칭이 아니라 조선시대에 관습적으로 쓰이던 용어였다. 호남로상에는 .. 2021. 8. 29.
임실 여행 전북 여행 옥정호 2020. 10. 6.
팔도가(八道歌) 임실군 팔도가(八道歌) 조선 말기에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분야고전시가유형작품성격가사창작년도조선 말기작가미상관련지역고려대학교 도서관시대조선성격가사창작년도조선 말기작가미상관련지역고려대학교 도서관 정의 조선 말기에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이용기(李用基)가 편찬한 『악부(樂府)』 상책(上冊)의 국한문 혼용본과, 이를 현대 맞춤법으로 고친 서울대학교 가람문고 소장의 『아악부가집(雅樂部歌集)』 수록본이 있다. 전체 9수로 되어 있으며,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202행이다. 9수는 총설적인 첫 수와 8도(道)에 따른 8수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첫 수에서는 팔도강산의 경개(景槪)가 수려하고, 물산(物産)도 좋고, 인물마저 준수하니 이 고장이 낙토임을 노래하였다.둘째 수.. 2020. 8. 3.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9권 전라도(全羅道) 임실현(任實縣)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9권 전라도(全羅道) 임실현(任實縣) 동으로 남원부(南原府) 경계까지 21리, 남으로 남원부 경계까지 23리, 서쪽으로 순창군(淳昌郡) 경계까지 57리, 태인현(泰仁縣) 경계까지 65리, 북으로 전주부(全州府) 경계까지 24리, 진안현(鎭安縣) 경계까지 25리, 서울로부터는 5백 82리이다. 【건치연혁】 본래는 백제의 임실군(任實郡)이다. 신라 때는 이에 따랐고, 고려 때는 남원부(南原府)에 속하였다가 고려 명종(明宗) 2년에 감무(監務)를 두었고, 본조에서는 태종(太宗) 13년에 준례에 따라 현감(縣監)을 삼았다. 【관원】 현감(縣監)ㆍ훈도(訓導) 각 1인. 【군명】 운수(雲水). 【성씨】 본현 문(文)ㆍ전(全)ㆍ백(白)ㆍ진(陳)ㆍ임(任)ㆍ차(車). 구고(九臯) 신(申)ㆍ황(黃)ㆍ호.. 2020. 7. 20.
임실군면의 폐합 관계서류(1914년) 면폐합 관계서류 생산년도: 1914년 기록물 유형: 총독부기록물 생산기관: 지방행정 공개여부: 공개 관리번호: CJA0002561 문서철에는 30개의 전라북도 내 각 군의 면폐합 관련 문건이 편철되어 있는데 각 군별로 조선총독 인가 지령안과 도장관 회보의 인가 신청 등이 묶여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예를 들면 , ,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문건의 형식과 내용은 앞 문서철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다. 출처: 국가기록원 2020. 7. 20.
지방 행정구역 명칭대장(임실군)(전라북도) 지방 행정구역 명칭 대장 생산년도: 1925년 기록물 유형: 총독부기록물 생산기관: 지방행정 공개여부: 공개 관리번호: CJA0002578 문서철에 편철되어 있는 문건은 모두 전북과 전남지역 각 군의 행정구역 명칭대장이다. 당시 전북지역에는 1개의 부(군산부)와 14개의 군 전남지역에는 목포부를 포함하여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에 보이는 동일 철명의 문서철들은 군면 폐합, 조선 면제 실시 이후 크게 바뀐 지방행정 구역의 명칭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1925년 내무부가 작성한 명칭대장(공문서가 아닌 동일 양식에 의거한 대장)들이다. 추측컨대 위의 대장들에 기초하여 『전선(全鮮)지방행정구역 명칭 일람』이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전국의 지방행정구역 명칭대장은 5권의 문서철로 분철.. 2020. 7. 20.
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 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 항목 ID GC04901748 한자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류정선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917년- 『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 간행 성격 고도서 저자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 [정의] 일제 강점기 오치 다다시치가 저술한 1914년 전국 군면동리(郡面洞里)의 통폐합 이전과 이후의 지명을 대조한 책. [저자]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는 일본 간사이 대학[關西大學] 출신이라는 점만 밝혀졌을 뿐, 신분 및 행적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서문에서 여러 관청의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고, 조선 총독부 직원록이나 관보 등에서도 등장하지.. 2020. 7. 19.
철도 전라선과 임실군 지역 전라선(全羅線) 198.8KM 전라선(全羅線)은 호남선 익산역과 여수엑스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다. 2012년 세계 박람회 개최와 함께 선형 개량과 복선 전철화 사업이 2011년 10월 5일 완공되었다. 역사 1913년 1월 전북철도주식회사가 철도 부설면허를 받아 1914년 2월 자본금 30만원으로 회사를 설립한 후, 60만원으로 증자해 본사를 전주에 두었다. 1914년 5월 토목공사에 착수해 같은 해 10월에 준공하고, 1914년 11월 17일 이리 ~ 전주 구간이 여객 운송을 개시하였다. 또한 화물 등 일반 운송업무는 같은 해 12월 1일부터 시작하였다. 본선 철도 시설의 총 건설비는 1927년 기준으로 55만 3천원이었다. 1927년 10월 조선총독부에서 90만원에 매수해 경전북부.. 2020. 7. 19.
망향탑 옥정호 망향탑은 운암면 국사봉 줄기에 자리하고 있으며 65년 섬진강댐 준공이후 수몰민들의 고향을 그리며 망향의 설음을 달래는 곳으로 앞으로 탁 트인 옥정호와 뒤로는 국사봉과 오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있어 망향의 설음을 달랠 수 있고 옛 소재지가 근접해 있어 망향객들이 끈임 없.. 2019. 6. 21.
양요정 임실 양요정을 가려면 전주에서 구이를 거쳐 운암 막은댐에 도착해 좌측으로 옥정호숫가를 이어주는 호반도로를 타고 한참을 따라 들어가야 한다. 정자의 주소는 전북 임실군 운암면 입석리 490-3으로, 국사봉 아래에서 우측으로 꺾어 들어가면 된다. 시간 여유가 있으면 양요정 가기 전 .. 2019. 6. 21.
학정서원(鶴亭書院) 학정서원(鶴亭書院)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에 있는 서원. 분야 교육 유형 유적 성격 서원 건립시기 1660년(선조 33) 소재지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 시대 조선-후기 성격 서원 건립시기 1660년(선조 33) 소재지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 정의 전라북도 임실군 청웅면 구고리에 있.. 2019. 6. 13.
임실군 소재 도난 문화재 제목 임실 해월암 지장보살상, 관세음보살상(삼존불상) 지정종별 비지정문화재 도난일자 1989/02/25 수량 2점 소유자 해월암 도난장소 전북 임실군 둔남면 대명리 725 해월암 시대 1950년대 규격 높이 40, 둘레 14cm 종별 수량 규격(cm) 시대 도 난 장 소 도난일자 소유자 비지정 2점 높이40cm 둘레 14.. 2019. 6. 8.
오수주천 현풍곽씨 제실,제전지 아래 사진은 2017년경에 찍은것으로 지붕의 기와가 옛모습 그대로이다. 예전 모습을 기대하고 갔는데..아쉽다. 지붕이 현대식으로 개량해 버려 정취가 완전 달라져 버렸으니... 2019. 6. 8.
대정 저수지(대말방죽) 지도 크게 보기 2019. 6. 8.
임실치즈 테마파크 1 지도 크게 보기 2019. 6. 8.
임실치즈 테마파크 2 지도 크게 보기 2019. 6. 8.
임실군 청소년수련원 지도 크게 보기 2019. 6. 8.
오수 원동산 2019. 6. 8.
임실목재문화 체험장 2019.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