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66

임실문학 61호 출판기념회 2024. 6. 29.
관촌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진 1 2024. 5. 5.
관촌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진 2 2024. 5. 5.
관촌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진 3 2024. 5. 5.
관촌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진 4 2024. 5. 5.
관촌초등학교 100주년 기념행사 사진 5 2024. 5. 5.
1910,1914년도 임실군 행정구역지도 1910년 05월 10일 임실군 행정구역 1914년 03월 01일 임실군 행정구역 -당시 따로 떨어져 있던 영계면이 순창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35년 10월 01일 오천면이 관촌면으로,  1992년 08월 10일 둔남면이 오수면으로 개칭되었다 지도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원문 출처: 조선총독부 관보 제488호 (1914년 3월 18일 발행)전라북도령 제5호: 조선총독부 관보 제499호 (1914년 4월 1일 발행)정오: 조선총독부 관보 제503호 (1914년 4월 7일 발행)와 제539호 (1914년 5월 19일 발행) 면의 명칭과 구역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다이쇼 3년 4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함- 다이쇼 3년 3월 10일 조선총독.. 2024. 5. 2.
2023년 불우이웃 돕기 코로나로 인해 지난 2년여간 하지 못했던 임실지역모니터분들이 2023년 불우이웃 돕기를 12월 22일 진행하였습니다 고학생과 병환을 앓고 있는 독거노인분 2분을 추천 받았는데 두분 다 가족이 없는 분으로 어려움이 많은 분들이었네요 겨울 한파가 한창인 요즘 따뜻한 겨울을 보내시라고 각각 난방유 400리터씩 지원해 드렸습니다. 이후 저희 회원님이신 이순재님이 질환으로 오래 병원에 계시기에 찾아뵙고 위로금 전달과 병문안을 하고 왔습니다. 월 회비 10,000 원이 모여 모임 식사비까지 아껴가며 모은 기금으로 작지만 뜻깊은 일에 적극적이신 박창연 회장님 이하 모든 회원님들에게 감사드립니다. 모니터 활동에는 항상 부족함을 느끼고 다음에 또 할수 있을까 하는 마음이지만 우리주위의 소외계층을 찾아뵙고 봉사하는 일만큼.. 2023. 12. 31.
20231219 효나눔 생일잔치 2023. 12. 31.
2023 관촌주민자치위 성과발표회 1 2023. 12. 24.
2023 관촌주민자치위 성과발표회 2 2023. 12. 24.
2023 관촌주민자치위 성과발표회 3 2023. 12. 24.
2023 관촌주민자치위 성과발표회 4 2023. 12. 24.
2023 관촌주민자치위 성과발표회 5 2023. 12. 24.
관촌면 체육문화센터 크리스마스트리 점등식 2023. 12. 6.
관촌면 기초생활조성사업 성과발표회 2 2023. 12. 6.
관촌면 기초생활조성사업 성과발표회 1부 2023. 12. 6.
다알리아 2023. 10. 29.
쑥부쟁이 2023. 10. 29.
맨드라미 2023. 10. 29.
구절초꽃 2023. 10. 29.
임실 관촌지구 자연재해예방사업 속도낸다 행안부 자연재해위험 개선 지구 정비사업 선정 372억 확보 내년부터 5년간 우수 관거정비-배수지 등 정비 임실군이 행정안전부의‘2024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관촌지구가 선정, 총사업비 372억원을 확보했다. 이번에 선정된 관촌지구는 관촌면 단일사업 중 가장 큰 규모로 내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추진된다. 사업내용은 우수관거정비 2.7km와 배수지 및 펌프장 2개소, 소하천정비 0.34km 등을 정비하게 된다. 군은 관촌지구 사업 선정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타당성 용역을 추진, 지난 4월 국가 예산 신청 및 현장 실사 등을 거쳐 최종 결정됐다. 또한, 군은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정비사업으로 임실 이도지구 신규사업으로 22억원도 확보했다. 군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사업비를 대거 확보하면서.. 2023. 9. 12.
나팔꽃 태양을 부끄러워하는 바람둥이 꽃 원예용으로 많이 심고 있으며 원줄기는 표면에 털이 있고 다른 물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는 덩굴성 식물이다. 줄기는 약간의 가지를 치면서 2~3m 정도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모양이며 대개 3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에 털이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 어느 마을에 마음씨 착한 아내와 그림을 잘 그리는 화가가 살고 있었다. 둘 사이는 매우 행복하였고 이것을 시기한 원님이 아내를 불러 감옥에 가두었다. 아내를 보고 싶어하던 남편은 자기가 그린 그림을 원님이 살고있는 담장 아래에 묻은 후 목숨을 끊었다. 그날 밤 남편의 꿈을 꾼 아내는 아침에 밖을 내다보고 담벼락을 타고 올라와 핀 나팔모양의 꽃을 보았고 죽은 남편을 생각하며 꿋꿋이 살았다고 한다. 나팔꽃은 일찍 피.. 2023. 9. 10.
부추꽃 아스파라거스목(Asparagales) 수선화과(Amaryllidaceae)[1] 부추아과(Alloideae) 부추속(Allium)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부추로 재배되는 종은 tuberosum이다 암발아 식물, 즉 어두운 환경에서 싹이 나는 식물이다. 가늘고 길쭉한 녹색 잎을 베어 수확하여 채소로 먹는다. 봄부터 가을까지 수확할 수 있지만 봄을 제철로 친다. 늦여름(7-8월)에는 꽃이 피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부추의 맛이 떨어진다. 한 번 심으면 몇 년이고 잘라 먹을 수 있다. 키우고 몇 년 지나면 세가 약해지는데, 뿌리줄기가 자라서 지나치게 촘촘해진 탓이니 뿌리줄기를 뽑아서 다시 심으면 된다. 꽃 하나마다 열매가 6개씩 맺히는데, 씨앗은 크기가 깨알만 하고 새까맣다. 부추 씨앗을 한방에서 구자(韭子.. 2023. 9. 10.
넓적사슴벌레 한반도와 중국 황하강 북부, 쓰시마 섬 지역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의 곤충으로 체색은 검은색이며 광택은 약하다. 큰턱은 길게 발달되어 있고 작고 큰 이빨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큰턱의 끝은 안쪽으로 휘어져 있다. 큰턱을 포함한 몸길이는 수컷 26~85mm, 암컷 19~44mm이며 수컷 한정으로 한국에서 서식하는 사슴벌레 중 최대의 크기를 가진다.[2] 다른 종에 비해 몸이 유난히 납작한데, '넓적'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곳에서 온 듯하다. 전국에서 발견되며 남부지방 쪽에 특히 많고 서울에서도 보일 정도로 서식지가 넓지만 서울특별시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3] 한국에선 흔히 줄여서 넓사라고 한다. 한반도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사슴벌레인데, 실제 대형마트에 가면 장수풍뎅이와 함께 많이 보.. 2023. 9. 10.
제 24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임실군 사회복지대회 1 (사)임실군 사회복지협의회가 제24회 사회복지의 날을 기념해 임실군 문화체육센터에서 6일 임실군 사회복지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심 민 군수를 비롯해 이성재 군의회 의장과 최규운 경찰서장, 남궁세창 임실교육장 그리고 전북 사회복지협의회 김순옥 수석부회장 및 각급 기관단체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 약 200명이 참석했다. 사회복지에 대한 군민의 이해를 높이고 복지인들을 격려하기 위한 자리로 꾸며진 이날 행사는 임실군 북부권노인복지관 어르신들의 합창과 로뎀하우스 직원과 이용자들의 댄스공연으로 시작됐다. 특히, 사회복지 현장에서 복지증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은 13명의 사회복지 종사자에게 임실군수 표창과 임실군의회 의장 표창, 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과 전북도․임실군 사회복지협의회장 표창장 등이 수여됐다. .. 2023. 9. 10.
제 24회 사회복지의 날 기념 임실군 사회복지대회 2 2023. 9. 10.
관촌면 행복보장협의체, 착한가게 6~10호점 현판 전달 임실군 관촌면 행복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명진, 조래춘)는 지난 3일 20여 명의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관촌면 착한가게 6~10호점’ 현판식을 현지에서 가졌다. 이날 현판식은 그동안 5호점에서 머물고 있던 착한 가게가 ‘다 함께 행복하게 살자’는 행복보장협의체의 추구하는 목적에 동의하는 지역 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무려 5개 업체가 동참했다. 6호점 관촌마트(대표 김종욱), 7호점 착한기업(유) 정도건설(대표 김유순), 8호점 대창회관(대표 신복례), 9호점 한농종묘농약사(대표 강병환), 10호점 관촌흥농종묘(대표 오희성)는 평소 소외계층과 지역복지에 앞장서고, 관촌면 천사모에 매월 3만원씩 기부할 뿐 아니라 지역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지역사회 봉사에 솔선수범하여 타의 모범이 되고 있.. 2023. 9. 10.
목포 고하도 1 2023. 9. 10.
목포 고하도 2 2023.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