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대 천연기념물 가침박달나무 군락지
유물명 임실 관촌면 가침박달나무 군락 한자명 任實 館村面 가침박달나무 群落 소재지 관촌면 덕천리 산 37 유적분류 식물 노거수 시대 역사시대 미상 유적개요/참고문헌 관촌면의 가침박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넓은잎나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14년에 처음 관찰된 1종 1변종이 자라는 드문 수종이다. 이곳군락은 교목 층이 졸참나물를 우점종으로하여 상수리 나무, 개어서나무등이 함께 자라고, 가장자리에 아까시나무, 은수원사시가 자라고 있다. 키작은나무는 국수나무, 물푸레나무, 쥐똥나무와 청머래덩쿨, 청가시덩쿨, 칡 등이 함께 자란다, 풀 종은 그늘사초, 맑은대쑥, 구름조개풀, 산거울, 개맥문동, 대사초, 양지꽃, 둥글레, 솔새, 개솔새, 그령, 억새등이 자란다. 이 가운데 자라는 가침박달나무는 키가 2~3m 정도..
2022. 4. 12.
地圖. 二 고종21(1884)
地圖. 二– 임실 간사자 : 미상 간사년 : 고종21(1884) 소 장 : 고려대학교 도서관 설명 조선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회화식 군현지도첩이다. 총 4첩으로 구성되어 있고, 책표지에는 “지도(地圖)”로 제첨이 붙어 있다. 전체 체계는 1.도리표, 2.도별전도, 3.소속 군현의 개별도의 순서이며, 지도의 여백에 각 도와 군현의 인구, 재정곡, 경지면적, 사방경계, 성곽, 창,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군현도의 경우 방안식 지도로 작성되어 있다. 제 1첩에 첫머리에는 전 세계를 축적에 근거해서 동서반구로 나누어 그린 서양식 지도인 목판본 를 부착하였고, 하단에 지구도해(地球圖解)와 지구론(地球論)을 베껴 놓았으며, 그 외에도 지구가 태양을 도는 모양을 도해한 와 지구 공전..
2022.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