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
항목 ID | GC04901748 |
한자 |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류정선 |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 1917년- 『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 간행 |
성격 | 고도서 |
저자 |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 |
[정의]
일제 강점기 오치 다다시치가 저술한 1914년 전국 군면동리(郡面洞里)의 통폐합 이전과 이후의 지명을 대조한 책.
[저자]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는 일본 간사이 대학[關西大學] 출신이라는 점만 밝혀졌을 뿐, 신분 및 행적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서문에서 여러 관청의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고, 조선 총독부 직원록이나 관보 등에서도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총독부 직원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편찬/간행 경위]
1914년에 군면리동을 통폐합한 이후 3년이 지났지만, 아직 옛 군면동리명과 새로운 군면동리명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책이 발간되지 않아 행정상의 큰 불편이 있었다. 이에 오치 다다시치가 『조선 총독부 관보』와 『조선 휘보』, 『구한국 지방 행정 구역 명칭 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 관계 당국자의 회답서, 각종 지도 및 기타 자료를 참조하여 신구 면리동 명칭을 정리하게 되었다.
[구성/내용]
1914년 군면동리 통폐합 정책은 1917년 면제(面制)를 시행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면적과 인구 면에서 큰 차이가 났던 면들을 평균화하기 위해 단행되었다. 면적 4방리(方里), 호수 800호를 기준으로 통폐합 작업이 실시되었는데, 이로 인해 면 수가 4,337개에서 1914년 2,522개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면의 구획 획정이 지방 사정에 대한 고려 없이 조선 총독부 일본인 관료들에 의해 탁상에서 일방적이고 폭력적으로 이루어졌다.
[의의와 평가]
『신구 대조 조선 전도부군 면리동 명칭 일람』은 1914년 이전과 이후의 지명을 알 수 있는 책으로 역사와 지리, 행정사, 식민지 정책사 등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내고향 임실 > 임실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군면의 폐합 관계서류(1914년) (0) | 2020.07.20 |
---|---|
지방 행정구역 명칭대장(임실군)(전라북도) (0) | 2020.07.20 |
철도 전라선과 임실군 지역 (0) | 2020.07.19 |
망향탑 (0) | 2019.06.21 |
양요정 (0) | 2019.06.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