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05월 10일 임실군 행정구역
1914년 03월 01일 임실군 행정구역 -당시 따로 떨어져 있던 영계면이 순창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1935년 10월 01일 오천면이 관촌면으로, 1992년 08월 10일 둔남면이 오수면으로 개칭되었다
지도출처: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지리정보DB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
면의 명칭과 구역
원문 출처: 조선총독부 관보 제488호 (1914년 3월 18일 발행)
전라북도령 제5호: 조선총독부 관보 제499호 (1914년 4월 1일 발행)
정오: 조선총독부 관보 제503호 (1914년 4월 7일 발행)와 제539호 (1914년 5월 19일 발행)
면의 명칭과 구역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다이쇼 3년 4월 1일부터 이를 시행함- 다이쇼 3년 3월 10일 조선총독부 전라북도장관 이두황
면의 명칭과 구역
임실군
명칭 | 구역 |
임실면 (任實面) | 일도면 일원, 이인면 일원, 대곡면 일원, 신안면 일원 |
청웅면 (靑雄面) | 옥전면 일원, 구고면(이윤동을 제외) 일원 |
운암면 (雲岩面) | 상운면 일원, 하운면 일원, 상신덕면 상가리, 하가리, 소죽치 |
신평면 (新平面) | 상신덕면(상가리, 하가리, 소죽치를 제외) 일원, 신평면(상고지 지장동, 도곡을 제외) 일원 |
성수면 (聖壽面) | 상동면 일원, 하동면 일원 |
둔남면 (屯南面) | 남면 일원, 둔덕면 일원 |
신덕면 (新德面) | 하신덕면 일원, 신평면 토고지, 도곡, 지장동 |
삼계면 (三溪面) | 오지면 일원, 말천면 일원, 아산면 일원, 석현면 일원 |
오천면 (烏川面) | 상북면 일원, 하북면 일원 |
강진면 (江津面) | 강진면 일원, 구고면 이윤동 |
덕치면 (德峙面) | 덕치면 일원 |
지사면 (只沙面) | 지사면 일원 |
정오
3월 18일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 임실군 운암면과 신평면의 구역 중 상가리, 하가리를 고치(羔峙)로 모두 정정함, 신평면의 구역 중 상고지는 토고지의 잘못
'내고향 임실 > 임실군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임실지회 (0) | 2023.06.30 |
---|---|
진구사지 석등 (0) | 2022.10.24 |
진구사지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0) | 2022.10.24 |
임실향교 대성충효교실 (0) | 2022.10.24 |
임실향교 대성전 (0) | 2022.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