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실의 문화관광/덕치면9

09.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C 덕치면 유물명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C 한자명 任實 回文里 遺物散布地 C 소재지 덕치면 회문리 205 일대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조선 유적개요/참고문헌 회문산(550.8m) 동쪽 기슭 하단부에 자리한다. 위에서 소개한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B와 다음에 설명할 임실 회문이 유물산포지 D와는 계단식 논으로 개간된 골짜기가 경계를 이룬다. 이곳은 동-서 방향으로 형성된 구릉지로 일부 민묘구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밭으로 개간되었다. 그리고 동쪽 기슭은 대규모 배나무 과수원으로 조성되었으며, 이곳의 남쪽 기슭에 민가와 창고가 들어서 있다. 현지조사 때 비교적 평탄한 지형을 이룬 구릉지의 정상부와 남쪽 기슭에서 옹기편, 기와편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고분의 벽석으로 추정되는 판석형 할석이 밭둑 곳곳에.. 2022. 10. 14.
08. 임실 회문리 생활유적 B 덕치면 유물명 임실 회문리 생활유적 B 한자명 任實 回文里 生活遺蹟 B 소재지 덕덕치면 회문리 498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청동기-조선 유적개요/참고문헌 순창-운암 간 도로확장공사 리도 201호 구간에 해당되며 (재)호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해 2006년도에 시굴조사가 실시된 유적이다. 유적은 덕치마을의 북쪽 기슭과 곡간부 일부가 포함된다. 즉, 망월촌 유적 A와 인접한 지역의 낮은 구릉에 해당된다. 마을 주민의 제보에 의하면, “이곳은 오래 전부터 도굴행위가 많이 이루어진 곳이다”고 한다. 시굴조사 결과 덕치마을 쪽 기슭에서 조사된 7번 Tr.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로 추정된 유구가 확인되었다. (재)호남문화재연구원, 순창~운암간(2공구) 도로확장공사구간내 문화유적 발굴조사-임실 망월촌 유적- 지도위원회의.. 2022. 10. 14.
07.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B 덕치면 유물명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B 한자명 任實 回文里 遺物散布地 B 소재지 덕치면 회문리 272 일대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청동기-조선 유적개요/참고문헌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A에서 남동쪽으로 100m 가량 떨어진 곳에 자리한다. 이들 유물산포지 사이에 이미 계단식 논으로 개간된 골짜기가 있는데, 이 골짜기의 제일 위쪽에 회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할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C와의 사이에도 계단식 논으로 개간된 골짜기가 있다. 이곳은 남동으로 장축방향을 둔 구릉지로 정상부와 남쪽 기슭에 조성된 민묘구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밭으로 개간되었다. 다만 구릉지의 동쪽인 국도 27호와 인접된 구역의 경우만 임야지대를 이룬다. 민묘구역을 조성하면서 일부 훼손된 구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형의 보존상.. 2022. 10. 14.
06. 임실 사곡리 도요지 덕치면 유물명 임실 사곡리 도요지 한자명 任實 沙谷里 陶窯址 소재지 덕치면 사곡리 890 일대 유적분류 도자기 시대 조선 유적개요/참고문헌 임실군 강진면 소재지에서 717번 지방도로를 따라 가면 사기제가 나온다. 이 저수지의 제방에서 남쪽으로 100m 가량 떨어진 피야골 입구에 백자편이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다. 이곳은 사기제 서쪽을 휘감은 산봉우리(194m)의 남동쪽 기슭 말단부로 대부분 밭으로 개간되거나 민묘구역으로 조성되었다. 피야골 입구의 민가와 남동 밭에 백자편과 소토가 광범위하게 흩어져 있으며, 여기서 동쪽으로 10m 쯤 떨어진 계단식 논둑에도 백자편이 산재되어 있다. 지금부터 20여 년 전 민묘구역을 조성하기 이전까지만 해도 백자편과 소토가 상당량 쌓여있었는데, 민가의 신축과 민묘구역을 조성.. 2022. 10. 14.
05.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A 덕치면 유물명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A 한자명 任實 回文里 遺物散布地 A 소재지 덕치면 회문리 272 일대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청동기-조선 유적개요/참고문헌 회문산(550.8m)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의 하단부에 망월촌마을이 있다. 이 마을 동쪽에서 섬진강 본류에 갈담천이 합류하여 그 주변에 비교적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이 들판의 남쪽을 휘감은 구릉지에 임실 회문리 유물산포지 A가 있는데, 이곳은 망월촌마을 남동쪽을 감싸고 있다. 구릉지의 정상부에 밭으로 개간된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임야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남쪽과 남동쪽 기슭이 일부 민묘구역으로 조성되었다. 현지조사 때 구릉지의 정상부에서 적갈색 연질토기편과 회청색 경질토기편, 자기편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는데, 이들 유물과.. 2022. 10. 14.
04. 임실 망월촌 생활유적 A 덕치면 유물명 임실 망월촌 생활유적 A 한자명 任實 망월촌 生活遺蹟 A 소재지 덕치면 회문리 산 32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청동기-고려 유적개요/참고문헌 순창~운암간 도로확장공사구간에 해당되며 (재)호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해 2006년도에 발굴조사가 실시된 유적이다. 유적은 망월산의 동쪽 산기슭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갈담천이 섬진강 본류에 합수되는 협곡지대에 속한다. 발굴조사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 구 2기, 원삼국시대 주거지 37기, 고려시대 석곽묘 4기, 우물 1기 등이 확인되었다. 유구의 하단부가 대부분 유실된 상태로 남아있으며 조성시기에 따라 분포상의 차이를 보인다. 즉,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조사 구간의 기슭 위쪽과 동쪽 기슭 하단부에 단독으로 위치하고 있는 반면, 원삼국시대 주거지는 동쪽 .. 2022. 10. 14.
03. 임실 회문리 사지 덕치면 유물명 임실 회문리 사지 한자명 任實 回文里 寺址 소재지 덕치면 회문리 757 일대 유적분류 사지 시대 시대미상 유적개요/참고문헌 회문리의 회문산 하봉 남동쪽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즉 회문리 사동마을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절골’이라는 골짜기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절골에 절이 있었다고 하며 기왓장을 비롯하여 초석도 발견하였다. 그리고 30여 년 전까지는 우물에서 물을 먹을 수도 있었다”고 한다. 현재 회문리 사지는 그 주변일대가 편평하고 현재에도 주춧돌을 비롯하여 우물터가 남아있으며 ‘절골’이라 불리는 것으로 보아 절이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2022. 10. 14.
02. 임실 두지리 고인돌 덕치면 유물명 임실 두지리 고인돌 한자명 任實 斗芝里 支石墓 소재지 덕치면 두지리 645 유적분류 고인돌 시대 청동기 유적개요/참고문헌 두지리 신기마을회관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소로를 따라 300m가량 가다보면 도로 남쪽에 있는 나지막한 구릉이 위치한다. 이 구릉의 남쪽 기슭에 독립된 지석묘 1기가 있다. 이 일대에서는 최대의 개석으로 여겨진다. 장축 530cm, 단축 260cm, 높이 180cm 내외이다. 장축방향은 정남북(0도)이며 지석 1매가 확인되었다. 임실군, 「임실군지」, 1997 2022. 10. 14.
01. 두지리 유물산포지 덕치면 유물명 두지리 유물산포지 한자명 任實 斗芝里 遺物散布地 소재지 덕치면 두지리 590 일대 유적분류 유물산포지 시대 조선~근대 유적개요/참고문헌 임실군 덕치면 두지리 신기마을에서 남서쪽으로 120m 가량 떨어진 구릉지에 자리한다. 이곳은 두지리 일원을 병풍처럼 휘감은 산줄기에서 북서쪽으로 뻗은 구릉지의 말단부로 소나무 숲을 제외하면 대부분 민묘구역으로 조성되거나 계단식 농경지로 개간되었다. 오래전 계단식 논과 밭으로 개간된 구릉지의 상단부 밭에서 백자편과 옹기편이 섞인 상태로 수습되었는데, 이들 유물과 관련된 유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구릉지의 남쪽 기슭에서 소토가 일부 확인되어, 본래 이곳에 옹기요지가 자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2. 10. 14.